-
목차
“의사가 되려면 정확히 어떤 단계를 거쳐야 할까?”
의대를 준비하는 수험생, 학부모, 진로 고민 중인 학생이라면 꼭 한 번 정리해봐야 할 필수 정보!
지금부터 의과대학 입시부터 실제 병원 근무까지, 의사가 되는 전체 과정을 하나씩 현실적으로 파헤쳐보겠습니다.
1. 의사가 되기 위한 첫걸음, 의대 입시
2025년 의대 정원 대폭 확대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으로 인해 2025학년도부터 전국 의대 정원이 약 4,000명까지 확대될 예정입니다.
그 중 실제로 2025학년도 입시에 반영되는 인원은 2,000명 이상으로, 지방대와 수도권을 포함한 대다수 의대에서 정원이 늘었습니다.- 일반전형 정원: 2,572명 (전년 대비 +581명)
- 지역인재 전형: 1,913명 (전년 대비 +888명)
이는 의대 진학을 목표로 하는 수험생들에게 기회의 폭이 넓어진다는 뜻이기도 하죠.
경쟁률, 여전히 ‘하늘의 별 따기’
정원은 늘었지만, 의대에 대한 선호도는 여전히 최고 수준입니다.
2025 수시 기준, 가천의대는 10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주요 상위권 의대들 또한 평균 30~70대 1의 경쟁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의대 진학은 여전히 전국 수험생 상위 1~2%의 성적이 요구되는 ‘엘리트 코스’입니다.
2. 의과대학에서 배우는 것들
교육과정 (6년제 기준)
- 1~2학년: 기초 의학 중심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등)
- 3~4학년: 임상 의학 과목 (내과, 외과, 소아과, 산부인과 등)
- 5~6학년: 병원 실습 (실제 환자 진료 보조, 케이스 학습 등)
최근에는 조기 임상 실습이나 PBL(문제중심학습) 등의 교육 방식도 확산되며, 이론보다는 실제 상황에 대비한 학습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3. 졸업 후 과정: 인턴 → 레지던트 → 전문의
인턴 과정 (1년)
의대 졸업 후, **의사 국가고시(국시)**를 통과하면 인턴으로 병원에 근무하게 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다양한 과를 돌며 실제 진료를 보조하고, 어느 진료과에 진출할지를 결정하게 됩니다.레지던트 과정 (3~4년)
레지던트는 본인이 선택한 진료과에 따라 3~4년간 전문 수련을 받는 과정입니다.
- 내과, 외과, 정신건강의학과, 피부과 등 다양한 전공 가능
- 업무 강도는 매우 높지만, 본격적인 의사로서 실무 능력을 쌓는 시기
“레지던트는 육체적, 정신적으로 가장 힘든 시기예요. 하지만 이 시기를 잘 넘겨야 전문의 자격증을 얻을 수 있습니다.”
4. 전문의 자격 취득 후의 진로
레지던트 과정을 마친 후 전문의 시험에 합격하면, 드디어 ‘전문의’로 인정받습니다. 이후 선택할 수 있는 진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학병원 전임의 → 교수직
- 개원의 (병원 개업)
- 국공립기관·보건소·연구소
- 기업체 산업의·제약회사 메디컬팀 등
5. 의사 직업 만족도, 과연 높은가?
놀랍게도, 최근 의사 직업 만족도는 사상 최저 수준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 직업 만족도: 53.7% (2023년 기준)
- 향후 만족도 하락 예상 비율: 71.9%
원인으로 지목된 요소들:
- 과중한 업무량 및 당직 시스템
- 정부 정책과의 갈등
- 의료소송·불만족 환자 증가
- 수가 문제로 인한 낮은 수익 구조 (특히 필수 진료과)
☝️ 참고: 피부과, 성형외과 등 일부 과는 여전히 높은 수익과 만족도를 보이지만, 소아과, 외과, 응급의학과 등은 인력 부족과 탈진으로 인한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의사가 되기 위한 현실적 조언
의사가 된다는 것은 단순한 직업 이상의 사명감과 긴 시간의 준비를 요구합니다.
만약 이 길을 고민 중이라면 다음을 꼭 점검해보세요:- 나는 사람의 생명과 건강에 대한 책임을 질 준비가 되어 있는가?
- 공부와 수련 기간을 버틸 체력과 정신력이 있는가?
- 단순히 ‘돈 많이 버는 직업’이라는 이유만으로 선택한 건 아닌가?
의사 되는 법, 단순히 ‘의대만 가면 끝’이 아닙니다.
입시부터 진료 현장까지 이어지는 긴 여정을 제대로 이해하고 준비해야
진정으로 보람 있는 ‘의사의 삶’을 살 수 있습니다.'특정 직업의 현실과 준비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리치료사가 되는 법 - 자격증부터 취업까지 현실 가이드 (0) 2025.03.29 간호사의 현실 - 워라밸과 직업 만족도는 어떨까? (0) 2025.03.28 IT 컨설턴트 되는 법 – 연봉부터 성장 가능성까지 현실 가이드 (0) 2025.03.26 클라우드 엔지니어 되는 법! 입문부터 자격증까지 완벽 가이드 (0) 2025.03.26 인공지능 엔지니어 되는 법 - 인공지능 전문가의 현실과 필요 기술 (0) 2025.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