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자유

경제적 자유를 이루기 위한 온라인 창업과 마케팅을 이야기하는 블로그입니다.

  • 2025. 4. 19.

    by. 경제적 자유 200억

    목차

       

      어릴 적 누구나 한 번쯤은 “게임 만드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꿈을 꿨을 것이다.
      그러나 막상 그 길을 진지하게 탐색해 보면 생각보다 복잡하고 실전적인 기술이 요구된다.


      **게임 기획자(Game Designer)**는 단순히 아이디어를 내는 역할을 넘어, 게임 전체의 구조와 사용자 경험을 설계하는 핵심 직무다.

      이 글에서는 게임 기획자의 실제 업무, 커리어 발전 과정, 필요한 역량, 포트폴리오 구성법, 취업 전략까지 상세히 알아보고자 한.


      1. 게임 기획자는 무슨 일을 하나?

      게임 기획자는 게임을 만드는 여러 직무(기획, 프로그래밍, 아트, 사운드) 중에서도
      가장 앞단에서 게임의 구조와 규칙을 설계하는 역할을 맡는다.

      주요 역할 분류

      기획 종류주요 업무
      시스템 기획 게임의 전반적인 규칙, 성장 구조, 난이도 조정
      레벨 기획 각 스테이지 구성, 맵 디자인, 플레이 흐름 설계
      콘텐츠 기획 퀘스트, 아이템, 스토리 진행 등 콘텐츠 배치
      UI/UX 기획 메뉴 구성, 버튼 배치, 사용자 경험 흐름 설계
      밸런스 기획 캐릭터 능력치, 아이템 밸런스 조정 등

      기획자는 단순한 아이디어맨이 아니라, 실제 실행 가능한 구조를 설계하고, 팀 전체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책임지는 PM 역할까지 수행한다.


      2. 게임 기획자의 하루 일과

      게임 회사의 기획자는 보통 기획서 작성 → 피드백 → 구현 확인을 중심으로 하루가 구성된다.

      예시 일과

      • 09:30 출근
        전날 회의 내용 정리, 오늘 일정 체크
      • 10:00 팀 미팅
        개발자·아트 팀과 협의, 일정 조정
      • 11:00 기획서 작성
        신규 콘텐츠 설계안, 밸런스 변경안 등
      • 13:00 점심
      • 14:00 구현 확인
        실제 게임 화면 테스트, 버그 리포팅
      • 16:00 회의
        QA, 마케팅, 운영팀과 협업
      • 18:00 퇴근 or 잔업

      기획자는 끊임없이 문서화하고, 설명하고, 조율하는 사람이다. 아이디어보다 실무와 설계가 중심이다.

       

      게임 기획자 커리어의 현실, 준비 과정, 취업 전략

       

       


      3. 어떤 역량이 필요한가?

      1) 논리적 사고력

      : 게임 규칙을 구조화하고, 예외를 관리하는 사고 능력

      2) 커뮤니케이션 능력

      : 개발자와 아트팀, 마케팅팀 사이에서 ‘번역기 역할’을 수행해야 함

      3) 분석력

      : 로그 데이터 분석, 유저 반응 예측 등 수치 기반 판단

      4) 게임 이해도

      :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실제로 플레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함

      5) 문서 작성 능력

      : 기획서, 스펙 문서, 플로우차트 등 명확한 문서화 능력 필요

      특히 기획자는 ‘엑셀’과 친해야 하며, 요즘은 ‘노션’ ‘피그마’ ‘Jira’ 같은 협업 툴 활용도 필수에 가깝다.


      4. 게임 기획자가 되는 법

      전공은 필수일까?

      • 컴퓨터공학, 게임학과, 멀티미디어학 등은 도움이 되지만 비전공자도 진입 가능
      • 비전공자는 포트폴리오와 프로젝트 경험으로 실력을 증명해야 함

      실전 취업 루트

      루트설명
      게임 학과 진학 청강대, 계원예대, 동서울대, 한예종 등
      게임 아카데미 수강 SBS아카데미, 게임잡학원 등 포트폴리오 집중 과정
      인디게임 제작 참여 팀 프로젝트, 공모전, 자가 앱스토어 출시 등
      QA(게임 테스트) → 전환 게임회사 내부에서 기획보조로 진입하는 방법도 있음

      5.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

      게임 기획자의 포트폴리오는 ‘아이디어’보다 구조화된 설계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 핵심이다.

      포트폴리오 예시

      1. 게임 개요서
        • 장르, 세계관, 핵심 시스템 요약
      2. 기획서 샘플
        • 시스템 기획서 (예: 레벨업 구조, 성장 트리)
        • UI/UX 흐름도, 맵 구조도 등 포함
      3. 플레이 흐름도
        • 첫 접속부터 엔딩까지의 전반 흐름
      4. 기존 게임 분석 리포트
        • LOL, 쿠키런, 스타듀밸리 등 인기 게임 분석
      5. 피그마/엑셀 파일 첨부
        • UI 와이어프레임, 밸런스 수치표 등

      6. 수익과 커리어 전망

      연봉 수준

      • 신입: 약 2,800만 원 ~ 3,500만 원
      • 3년 차 이상: 4,000만 원 ~ 5,000만 원
      • 10년 이상: 6,000만 원 이상 / PD급은 억대 연봉도 가능

      커리어 발전

      • 주니어 기획자시니어 기획자리드 기획자
      • 게임 디렉터, 프로듀서(PD)
      • → 창업 또는 퍼블리싱, 플랫폼 기획으로 확장 가능

      특히 메타버스, NFT 기반 게임, 클라우드 게임 분야 등에서 새로운 기획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7. 참고하면 좋은 기획자와 게임 사례

      작가 / 기획자참고 작품특징
      요시노리 오노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밸런싱 기획의 대가
      하겐 슬라이더 문명 시리즈 시스템 기획의 정석
      윤석준 (넷마블) 세븐나이츠 한국형 과금 모델 기획의 사례
      김창한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현실성과 몰입 중심 설계
      마크 브라운 (Game Maker’s Toolkit) 유튜브 채널 논리적 기획 사고 교육 영상 제공

      결론: 아이디어보다 ‘설계력’이 게임 기획자의 핵심

      게임 기획자는 창의성과 현실 사이의 설계자다.
      아이디어는 누구나 낼 수 있지만, 그것을 수치화하고 구조화하고, 팀과 소통할 수 있어야 비로소 진짜 기획자가 된다.

      매일 새로운 콘텐츠가 쏟아지는 게임 시장에서
      **‘유저 경험 중심 설계’**를 해낼 수 있는 기획자는 늘 부족하다.

      만약 당신이 게임을 즐기는 것을 넘어서
      "왜 이 시스템은 이렇게 설계됐을까?"를 자주 고민한다면,
      이미 당신은 기획자의 마인드를 갖고 있는 것이다.